고전압 배터리 셀 제조 불량
분리막 손상 내부합선 가능성
LG화학, 배터리 불량엔 반박
소비자도 집단 소송 움직임
분리막 손상 내부합선 가능성
LG화학, 배터리 불량엔 반박
소비자도 집단 소송 움직임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2017년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작된 코나EV 7만7000대를 리콜한다.
앞서 지난 8일 국내에서 2만5564대를 리콜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북미 1만1137대, 유럽 3만7366대, 중국과 인도 등 기타 지역 3000여대 등 해외에서도 5만1000여대를 리콜하게 된다.
코나EV가 출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해외에서 총 7만7748대가 팔린 점을 감안하면 해외에서만 판매 물량의 70%를 리콜하는 셈이다.
현대차 북미법인(HMA)은 최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코나EV의 자발적 리콜 계획을 제출했다.
글로벌 리콜은 지역별로 진행될 예정이며, 이르면 이번 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코나EV는 지난해 7월 캐나다에서 주차 중, 9월 오스트리아에서 주행 중 불이 나는 등 해외에서만 총 4건, 국내에서는 9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까지 파악된 코나EV의 화재 원인은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이다.
국토부는 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결함 조사 결과 제조 공정상 품질 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이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으며, 배터리 불량이라고 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나서 당분간 화재 원인을 둘러싼 공방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동호회 카페를 중심으로 코나EV와 관련한 집단 소송 움직임이 불거지는 등 소비자 불만은 계속되고 있다.
코나 차주들은 이번 리콜이 사실상 BMS를 업데이트하는 데 그치고 배터리 교체는 제한적으로 이뤄지게 되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전기차 동호회 카페에서 진행하는 리콜 관련 손해배상 청구 집단소송 청구인 모집에는 1000여명이 넘는 이들이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현대차그룹은 내년을 전기차 도약을 위한 원년으로 삼고 2025년까지 전기차 23종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지난 7월 청와대의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2025년에 전기차를 100만대 판매하고 시장점유율 10% 이상을 기록해 글로벌 리더가 되겠다”고 밝힌바 있다. 김창식기자 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