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주 영입시도 논란 등
황교안 리더십 불만 표출
총선기획단 인적구성 놓고
친박·영남권 편향성 비판
與 총선기획단 본격 가동
황교안 리더십 불만 표출
총선기획단 인적구성 놓고
친박·영남권 편향성 비판
與 총선기획단 본격 가동

황교안 대표는 5일 ‘삼청교육대 발언’으로 구설에 오른 박 전 대장 문제와 관련해 “국민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될 것 같다”며 사실상 영입 철회 입장을 밝히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이미 리더십 시험대에 오른 황 대표를 향한 당내 곱지 않은 시선은 이어졌다.인재 영입 논란뿐 아니라 전날 출범한 총선기획단을 놓고도 ‘편향된 인적 구성’이라는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친박(친박근혜)계 재선인 김태흠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영남권·강남3구 3선 이상 중진 용퇴, 황 대표의 기득권 내려놓기 등을 골자로 하는 당 쇄신을 공개 요구했다. 한국당 현역 의원이 당 지도부를 향해 공개적으로 쓴소리를 한 것은 황 대표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조국 사태’에서 반사이익을 반짝 얻었을 뿐 총선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갈피를 잡지 못한 채 각종 논란을 양산하는 당 지도부의 리더십에 대한 당 안팎의 불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장 영입 시도를 둘러싼 다른 의원들의 비판도 쏟아졌다.
여의도연구원 원장인 김세연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한국당은 박 전 대장을 비례대표뿐 아니라 지역구 공천도 해서는 안 된다”며 “왜곡된 역사 인식과 편협한 엘리트주의는 당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국민들에게 선택받을 수도 없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신상진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박 전 대장에 대한 영입 철회를 주장하며 “국민과 소통·공감할 준비가 안 돼 있는 분”이라며 “황 대표 체제에서 인재영입을 처음 하는 것이라 상당히 미숙한 부분이 많았던 것 같다”고 밝혔다.
내년 총선의 밑그림을 그릴 총선기획단 인선 역시 친박과 영남권에 치우쳤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기획단 위원 12명 가운데 여성은 전희경 의원 한 명뿐이고 단장인 박맹우 의원과 총괄팀장 이진복 의원, 간사인 추경호 전략기획부총장 등을 비롯해 박완수·이만희 의원 등은 모두 영남 출신이다.
같은 날 출범한 더불어민주당 선거기획단이 당내 ‘쓴소리 담당’ 금태섭 의원 등을 포함해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한 것과 비교되면서 이번 총선기획단 구성을 둘러싼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장제원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민주당의 총선기획단 인선을 보니 섬뜩하다. 강경파, 온건파, 주류, 비주류, 청년, 여성 등을 두루 아우르고 있다”며 “한국당도 지지층만 바라보는 폐쇄적인 모습을 탈피해 달라져야 한다. 다름을 반기며 중간으로 성큼성큼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공정·정의·미래를 콘셉트로 하는 총선기획단이 본격가동에 나섰다.
민주당 총선기획단은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총선 ‘밑그림 그리기’에 착수하고 ‘이기는 선거’가 목표임을 명확히 했다.
총선기획단 단장인 윤호중 사무총장은 “20대 국회가 야당의 발목잡기로 최악의 국회 오명을 쓰고 있는데, 민주당이 지금껏 추구해온 일하는 국회, 민생 국회를 만들 총선이 돼야 한다. 이번 총선에 우리 당의 운명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운명이 달렸다는 각오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