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한국중세고고학회
27일 박물관 강당서 학술대회
철기 생산·유통으로 보는 사회상
이해 돕는 논문 5편 발표·토론
27일 박물관 강당서 학술대회
철기 생산·유통으로 보는 사회상
이해 돕는 논문 5편 발표·토론

-이도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융합고고학과) 교수의 ‘변한 국출철론의 검증과 의미’(2019) 중에서
‘철’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 인류가 가장 널리 사용한 금속이다. 철기를 생산하던 유적의 존재와 기술을 밝히는 제철유적 조사와 복원 실험을 통해 우리 역사의 흐름과 사회발전상을 밝힐 수 있다. ‘철의 지배세력’과 ‘제철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시대상을 살펴봐야 하는 중요한 이유다.
울산박물관(관장 신형석)이 한국중세고고학회(회장 정의도)와 공동으로 ‘한국 중세 제철유적의 고고역사적 접근’ 주제의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행사는 27일 오후 1시30분 울산박물관 강당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대회는 중세 이후 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총 5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호서지역 고려~조선시대 제철유적 현황 및 검토’(김경호, 호서문화유산연구원), ‘영남지역 조선시대 제철기술의 한 사례-울산 쇠부리가마’(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금속학적 분석 결과로 본 중세 제련기술의 발전 양상’(최영민, 아주대학교 도구박물관), ‘고려시대 제철수공업의 운영체계’(이정신, 한남대학교), ‘조선시대의 철 생산 체제’(서성호, 전 국립중앙박물관) 순이다.
주제발표 후에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이남규 한신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조록주(중원문화재연구원), 박학수(국립부여박물관), 신종환(영남문화재연구원), 정해득(한신대)씨가 토론한다.
한편 이날 행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지침에 따라 50인 미만으로 참석이 가능하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