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과북이 27일 오전 10시부터 그동안 단절됐던 남북 간 통신연락선을 전격 복원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긴급 브리핑을 통해 발표했다.
이날 청와대와 정부 유관부처 등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6월9일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하며 판문점 채널을 비롯한 남북 간 모든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끊은 지 413일 만이다.
이번 통신연락선 복원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합의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친서를 교환했으며, 통신연락선 복원을 비롯해 남북관계 회복 문제에 대해 소통했다고 박 수석이 전했다.
특히 두 정상은 하루속히 남북 간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 관계를 다시 진전시켜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다만 청와대는 두 정상이 주고받은 친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두 정상의 관계 진전 공감대 및 통신연락선 복원이 남북의 본격적인 대화 재개, 나아가 관계 복원의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남북이 향후 어떤 방식으로 소통을 이어나갈지 주목된다.
한국은 지난 1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남북·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했고, 북한을 향해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는 메시지를 거듭 내놓았다.
무엇보다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끊긴 상황에서도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친서 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또다시 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 역시 북한을 향해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향후 북미대화 재개 움직임이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 남북관계의 근본적 진전을 위해서는 북미대화가 상수로 꼽힌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남북이 통신연락선을 복원하며 대화 재개의 발판을 마련한 것과 관련, “남북 정상 간 대면 접촉, 화상 회담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여야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나타내면서 각론엔 온도차를 나타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다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며 반색했다.
국민의힘 역시 “어떠한 관계에서도 물밑 대화는 이뤄져야 한다”며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 “이번 통신 복원이 구애가 아닌 소통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