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모바일 경선’은 지난 6월11일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이준석 대표 직속으로 ‘지방선거 역량강화 TF팀’에서 구체적인 로드맵을 짜고 있어 도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의 이러한 공천 로드맵은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지난해 4·15총선 당시 당 공천관리위와 후보가 잠정 합의한 복수의 외부여론조사 기관에 의뢰, 최고 점수를 받은 단수후보를 공천하는 이른바 ‘전통적 여론조사 방식’에서 완전 탈피하겠다는 것이다.
8일 당 지도부에 따르면 우선 울산시장 후보를 비롯한 광역시도지사 후보 공천의 경우, 당 소속 공천 신청자 전원을 대상으로 서류심사를 거쳐 도덕성 문제 등을 스크린한 뒤 당 부설 여의도연구원에서 경쟁력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 조사에서 일정한 경쟁력을 검증한 뒤 2차로 책임당원·일반당원 50%와 일반시민 50% 비율의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2~3명으로 압축한다.
이어 지역별 TV토론을 거친 뒤 당내외 일정비율로 구성된 공천관리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배틀을 개최한 다음 모바일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모바일 투표 역시 전당대회 당시 운용된 당원(일반당원·책임당원)과 일반시민을 각각 50대 50비율을 적용키로 했다.
이와 관련, 당 역량강화 TF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울산시장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지사 공천관리의 방점은 철저한 투명성과 공정성에 있다고 보면 된다”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심과 일반 국민들의 여론으로 본선 경쟁력에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전략지역과 관련해선 “당의 전통적 취약지역이라 할 수 있는 호남 등 일부지역에 대해선 당 공천지도부가 신축적, 정무적 판단도 없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당은 또 기초단체장인 시장·군수·구청장 후보 공천의 경우에도 최종 판단기준은 모바일 선거로 가닥을 잡고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당해 지역 국회의원 및 당협위원장이 직간접 공천권을 행사한 파행공천 논란은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와 관련, 당 역량강화 TF팀 관계자는 “이준석 대표의 확고한 의지는 ‘국민여론을 무시한 공직 후보 추천은 절대 안된다’라는 것이다. 때문에 기초단체장 후보 추천의 경우에도 당원과 일반시민들을 일정 비율로 모바일 선거가 유력시 되고 있다”면서 “공천 로드맵이 구체화 되면 당 지도부에 보고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시구군의원 등 지방의원 후보자 추천의 경우엔 아직 공천로드맵을 구체화하지 않고 있다고 당 관계자가 전했다.
모바일 투표 등의 경선 방식과 시도당 공천관리위의 ‘전통적 심사방식’(서류·면접)을 놓고 신축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