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주자인 홍준표 의원은 19일 페이스북에서 “선수와 심판이 뒤엉켜 통화 내용을 두고 말꼬리 논쟁이나 하는 모습은 참으로 유치하다. 분열은 곧 패망”이라고 우려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SNS에서 “내부 분열로 정권 교체라는 시대적 소명을 완수하지 못하면 역사의 죄인이 된다”며 이준석 대표와 대선 예비후보의 연석회의를 제안했다. 과거 계파 싸움에 몰두하다 국민의 외면을 받았던 상황을 반복하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 중진 의원은 “당 지지율이 오르고 한번 해볼 만하다고 하니 다들 초심을 잃었다. 캠프로 뿔뿔이 흩어져 권력 투쟁을 벌이는데, 지금이라도 정신 차려야 한다”고 개탄했다.
당 지도부는 이런 쓴소리를 의식한 듯 서로 작정하고 물어뜯던 이틀 전 ‘아사리판’을 반복하지 않았다. 비공개 최고위는 불과 10분 만에 끝났다.
그러나 치명적인 당내 갈등의 불씨는 진화되지 못한 분위기다. 내홍에 대한 책임 공방이 또 다른 내홍으로 번지면서 자중지란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최고위에서 “정권 교체라는 국민 열망을 뒤로하고 경선 주도권부터 잡고 보자는 식의 캠프식 당내 정치에 모두 지쳐가고 있다”고 했다.
이 대표의 경선 관리에 주자별 유불리를 따지며 리더십 흔들기를 시도하는 인사들을 우회 비판한 것으로 해석됐다.
당 선거관리위원장 인선 문제도 또다른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권 주자인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라디오에서 “서병수 의원을 선관위원장으로 임명하려고 강행하면 이번에 충돌한 사태의 몇 배에 해당하는 이 대표의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고위에서는 김황식·정홍원 전 국무총리, 황우여·정병국 의원 등이 선관위원장 후보군으로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강창희 전 국회의장도 후보군에 속한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