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저상버스 도입률 전국 최하위 수준”
상태바
“울산 저상버스 도입률 전국 최하위 수준”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1.08.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성민(울산중·사진) 의원
울산이 저상버스 도입률이 12.2%에 그쳐 전국 시도 가운데 충남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성민(울산중·사진)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제3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에 따른 저상버스 도입 목표(2020년)가 전체 시내버스의 36%였지만, 지난해 말 기준 도입률은 28.8%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57.4%로 가장 높았고 대구 44.7%, 강원 34.6%, 제주 32.9%, 대전 31.3%, 세종 27.6%, 부산 26.6%, 광주 26.1% 순이다. 울산과 충남이 각각 12.2%, 10%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저상버스는 휠체어 이용자뿐만 아니라 어린이부터 노인, 임산부 등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도입됐지만 그동안 정부·지자체의 예산편성 우선순위에서 밀리거나 관리·감독 부실로 인해 그나마 지급된 보조금도 보조금 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문제 등이 있어 보급이 더뎠다고 박 의원실은 지적했다.

박 의원은 “그동안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저상버스 도입률이 저조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했지만, 특히 울산의 경우 오히려 지난 2017년부터 저상버스 도입률이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버스보다 도시철도 이용률이 높은 타 시·도에 비해서도 저상버스 도입률이 저조하다”면서 “정부와 지자체가 저상버스 보급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 시민들의 대중교통 불편을 대폭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퇴직했는데…2019년 월급이 또 들어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