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과거 한국정부와 협력했던 아프가니스탄인들을 국내로 이송하기로 것에 대해 “우리를 도운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 도의적 책임을 다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또 의미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아프가니스탄 현지 조력인의 국내 이송과 관련한 보고를 받고 “우리 국민들의 이해와 협조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와 함께 일한 아프가니스탄 직원과 가족들을 치밀한 준비 끝에 무사히 국내로 이송할 수 있게 돼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인들이 안전하게 한국에 도착할 때까지 면밀히 챙기라. 국내 도착 후 불편함이 없도록 살피고 방역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정부와 군에 지시했다.
한국 정부와 협력했던 아프가니스탄 391명은 오는 26일 한국군 수송기 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에 도착하며,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머물 예정이다. 이들은 과거 한국을 위해 일했다는 이유로 탈레반의 보복 위험에 처했다며 도움을 요청했고, 정부는 이들에 대한 도의적 책임,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책임, 인권 선진국으로서의 위상 등을 감안해 국내 이송을 결정했다.
한편 한국군 수송기편으로 출발한 391명은 당초 정부가 계획했던 이송 인원 427명보다 36명이 적다.
이에 따라 일부가 탈레반의 방해와 카불공항 주변 혼란 등으로 탈출길이 막힌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이들은 마지막 순간 마음을 바꿨다고 한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화상 브리핑에서 “원하는 사람은 100% 나왔다”며 “36명 중에는 국내 잔류나 제3국행을 결정한 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고위당국자는 “지금처럼 비행기를 보내는 작전은 이번으로 마감하지만 36명 중 나중에 ‘도저히 안 되겠다, 한국 가야겠다’는 경우 개별적으로 방안을 강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