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여권 지지층을 여론조사에서 배제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놓고 대선주자들은 각자 이해관계에 따라 나뉘어 사생결단의 자세로 나선 형국이다.
선관위는 지지 정당을 묻는 방식 대신에 ‘정권 교체에 찬성하는가’라는 조항을 중재안으로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한 조사와 관련 조항이 없는 조사를 각각 진행해 합산하는 방식, 1차와 2차 예비경선(컷오프)에 다르게 적용하는 방안도 중재 카드로 거론된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1일 “국민의힘 후보를 선정할 때 상대 당을 지지한다고 명백히 밝힌 분들에게 선택권을 줘서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지원하는 권성동 의원도 “우리 당 모 후보를 지지하는 민주당 지지자들이 실제 본선에 가서는 민주당 후보를 지지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홍준표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대선 경선에 한 번도 도입하지 않던 상식에 어긋나는 반쪽 여론조사 도입 시도는 이제 관두라”면서 “(선관위원장이)특정 후보 편들기 시도는 경선 파탄을 불러오고 이적행위로 국민적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유승민 전 의원도 이날 취재진과 만나 선관위 중재안에 대해 “(저는) 경준위 안을 토시 하나 고치지 말라고 했다. 변칙적인 절충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홍준표 의원의 설전에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소환, 정면 충돌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 중앙회를 방문한 뒤 ‘홍 의원의 발언을 어떻게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형사 처벌과 관련한 사법 집행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좀 두테르테식”이라고 답했다. 이에 홍준표 의원은 SNS에서 “나를 두테르테에 비유한 것은 오폭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두테르테이고, 귀하는 두테르테의 하수인이었다”라고 즉각 반박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