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경선레이스가 본격화 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이 2일 울산을 찾아 ‘울산 대한민국 수소경제 메카’ ‘원전 산업화’ 등 경제·사회·안보 등 각 분야별 지역발전 방안 등을 제시하며 표심잡기에 공을 들였다. 이날 하루에만 홍준표 의원과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울산을 찾아 지역을 훑었다.
홍준표 의원은 이날 울산 새울원자력본부 신고리 5·6호기 건설현장을 방문해 “대통령이 되면 원자력발전소 밀집 지역에 아이언돔(미사일 요격 무기 체계)를 도입해 유사시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는 등 부울경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겠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원전 폐기정책으로 세계최고 수준까지 올라간 원전산업이 몰락했다. 대통령이 되면 원전산업을 제자리로 돌려놓겠다. ‘파이로프로세싱’으로 소형원자로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울산시당으로 자리를 옮긴 홍 의원은 울산지역 현안과 관련,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중화학산업과 함께 수소경제 중심의 메카로 추진하겠다. 강성 노조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홍 의원은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서는 “단순한 도시연합에 불과하다”며 쓴쏘리를 냈다.
홍 의원은 “개헌을 통해 현재 기초·광역·국가 3단계에서 지방·국가로 2단계로 바꾸고, 현재의 ‘도’를 없애고 40여개 지방자치단체로 편성할 것이다. 국회도 하원 150명, 상원 50명 등 200명으로 줄이고 양원제를 실시하고 비례대표를 없애겠다”는 구상안을 밝혔다.
반구대암각화, 물문제와 관련, 홍 의원은 “결국 물문제다. 전국에 식수댐을 만들어야 한다. 현재 상하수도 시스템을 중수도를 포함시켜서 3중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 홍 의원은 강성 노조 문제를 거론하면서 미국 디트로이트 사례를 들며, “이제는 강성 노조도 울산과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협력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대권주자인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도 이날 울산을 방문, “우리나라 경제는 망가졌고, 민생은 깨졌다. 차기 대통령을 잘 뽑아야 하는 이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황 전 대표는 지역 정치부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산업 1번지 울산을 비롯해 우리나라 경제를 되살리려면 경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경제 위기는 극복해 본 사람이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황 전 대표는 “울산은 과거 광역단체 중 전국에서 가장 잘 사는 도시였으나 2010년 이후 조선업 불황과 인구 유출 심화로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전통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바꾸고 원전을 산업화해 국민들이 에너지와 전기료 걱정없이 살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황 전 대표는 “울산광역시는 울주군과 통합하면서 과도하게 지정된 그린벨트의 재조정도 필요하다”며 “이와 함께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도 지방정부만이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어 중앙정부가 함께 도와야 할 사업이라고 판단한다”라고 덧붙였다.
당내 경선룰과 관련, 황 전 대표는 “경선룰은 당헌당규가 있다. 많은 검토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원칙적으로 선거를 앞두고 규칙을 바꾸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개인의 이해관계 유불리를 생각해 가며 룰을 쟁점화하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고 본다. 만약 문제가 있다고 하면 당원들과 함께 심도깊이 고심해 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황 전 대표는 선거 재검표 과정에서의 투표용지 문제도 지적했다.
황 전 대표는 이날 국민의힘 울산시당 지역 당협을 돌며 당원들과 간담회를 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