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본청 33%·소방서 44% 내진성능 미확보”
상태바
“지자체 본청 33%·소방서 44% 내진성능 미확보”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1.09.1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힘 서범수(울산울주) 의원은 행정안전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난 발생시 즉각 대응해야 할 지방자치단체·소방서 건물에서 내진성능 확보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행안부가 제출한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진 등 재난 발생 시 현장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본청 건물 총 245개 중 80개(32.7%)가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7개 광역시도 건물 중 인천광역시청과 충북도청 본청 건물이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했다.

228개 시군구 중에는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시군구 청사는 총 78개로 서울의 강남구, 종로구, 중구, 부산의 부산중구, 동래구, 인천의 중구, 미추홀구, 경기도 과천시, 김포시, 안산시, 파주시 등이 포함됐다.

반면 울산시, 제주도, 세종시 등은 광역시 본청 건물 및 기초단체 건물 통틀어 모두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현장에서 사고 수습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소방관서의 경우 전체 1550개 건물 중 679개(43.8%)가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 의원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복구와 대응을 해야 할 행정관청과 소방관서의 내진성능 확보가 미흡한 것은 문제”라며 “그 어느 때보다 재난안전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를 볼 때 정부차원에서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행안부는 소방관서 등 안전관련 시설이나 노후화된 시설부터 내진보강이 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