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지난 24일 ‘울산 재난·안전산업 규제자유특구 계획안 열람 및 공청회 개최를 공고했다. 시의 이번 특구 지정 도전은 수소 그린 모빌리티와, 게놈, 이산화탄소 규제자유특구에 이어 4번째이다.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이 아닌 80~90%가량 진척도를 보이는 사업을 실증해 상용화하는 게 목표다. 석유화학공단 등이 밀집해 각종 재난·안전사고가 빈발하는 울산에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이번 특구 지정은 지자체가 분야를 정하면 정부가 심사 후 지정하는 일반적인 특구 사업과 달리 톱-다운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기부가 지자체에 수행 과제를 내려보내면 지자체가 관련 사업을 발굴하고 연관성이 있는 기업체를 확보해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는 일종의 공모 형태다.
발굴 대상 기업은 중소기업이다. 울산은 온산국가산단이나 석유화학단지 등 입주 대기업을 중심으로 재난·안전 관련 장비와 인력, 노하우 등을 갖추고 있다. 반면 발굴 대상인 재난·안전산업 관련 중소기업은 부족한 만큼 적합한 사업을 발굴하는 게 지정의 관건이다.
시는 석유화학공단에 설치된 유독 화학물질 탱크 개·보수 등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식사고 예방을 위해 유해농도 감지 센서를 개발하거나 위험 배관에 센서를 부착해 크랙·누출 등을 실시간 감지하는 기술, 누출사고 발생 시 진화를 위한 무인차량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울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과제를 발굴하고 있다. 10월25일까지 진행되는 계획안 열람과 10월12일 공청회 등을 통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계획안을 보강해 10월 말까지 중기부에 계획안을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중기부는 6차 규제자유특구 심의위원회를 열고 11월께 지정 여부를 발표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접수 전까지 보완이 필요한 과제는 최대한 보강하고, 신규 사업도 발굴해 지정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