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27일 제1별관 3층 회의실에서 ‘울산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울산 먹거리 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구·군별 및 계층별 먹거리 차별을 극복하며, 먹거리 관련 주체의 적극적 참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을 기획했다.
지속 가능하고 구체적인 ‘지구’ 먹거리 수립을 위한 용역에서는 △환경을 배려하는 먹거리 △차별 없이 누구나 누리는 먹거리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먹거리 △110만 울산시민을 책임지는 먹거리 등 4대 과제가 제시됐다.
우선 환경을 배려하는 먹거리를 위해 지속 가능한 농업 패키지 지원, 환경 친화 신농업기술 테스트 베드 사업 지원, 로컬푸드 직매장 농가 참여 체계화 등의 방안이 제시됐다.
차별 없이 누구나 누리는 먹거리를 위해 구·군별 공공급식에 투입되는 안전 먹거리 생산단지 조성 지원, 책임 생산-소비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 먹거리 공급 차액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먹거리를 위해서는 소규모 먹거리공동체 활동 지원, 민간 활동 주체와 연계한 교육·홍보 지원, 울산 지구 먹거리 거버넌스 구성 등을 추진키로 했다.
110만 시민을 책임지는 먹거리를 위해 먹거리 지원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전담 부서 및 연계 부서의 푸드플랜 세부 사업 이행 점검 및 평가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 도출됐다.
시는 이 가운데 ‘제로 웨이스트형’ 로컬푸드 전문매장 설치·지원과 ‘울산시 먹거리통합센터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검토키로 했다.
시는 영남권에서 최초로 도입한 로컬푸드 직매장에 제로 웨이스트를 접목해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생분해·재생가능 포장재 판매, 개인 용기 이용 리필스테이션 운영, 친환경 포장재 사용 등을 추진한다.
먹거리 통합센터 구축은 장기 과제로 검토한다. 먹거리통합센터 내에 지원센터와 안전성분석센터, 유통센터를 조성하고 먹거리의 공적조달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과제를 우선 선정해 추진하고, 먹거리 생산·유통·소비·쓰레기와 안전·영양·환경 등 다양한 현안을 통합 관리하는 ‘먹거리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