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울산시장직 인수위원회는 21일 복지여성국과 시민건강국, 울산시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업무 보고를 실시했다.
자문위원인 이경리 대한간호협회 울산시간호사회장은 공공 산후조리원 공약의 조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시가 운영 중인 북구 공공 산후조리원에서 연간 13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추가로 공공 산후조리원을 조성할 경우 적자 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자문위원은 특히 산부인과 병의원 등이 운영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후조리원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공공 산후조리원 조성 대신 민간 산후조리원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여태익 시 시민건강국장도 이에 일정 부분 동의했다.
여 국장은 울산 동부권인 북구에 공공 산후조리원이 조성된 만큼 김 당선인의 공약에 따라 18실 규모의 공공 산후조리원을 서부권에 지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 국장은 중구청장과 울주군수 당선인 역시 공공 산후조리원 조성을 공약한 만큼 모두 이행될 경우 민간 산후조리원이나 분만병원 등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여 국장은 시가 중구나 울주군 등에 공공 산후조리원을 조성하거나, 구군이 조성하고 시가 운영비 등을 일부 지원하는 방안, 산모에게 산후조리비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김 당선인은 업무 보고와 정책 제안을 청취한 뒤 공공 산후조리원 공약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당선인은 “관이 나서면 시장의 다수를 차지하는 산후조리원 업계가 위축될 수 있는 만큼 역으로 민간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다른 형태로 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겠다”며 “중구와 울주군 역시 같은 공약을 한 만큼 조만간 기회가 되면 중구청장·울주군수 당선인과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당선인은 장애인 관련 현안을 직접 보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장애인 특별 보좌관을 채용해 달라는 정책 제안도 수용하기로 했다.
김 당선인은 “청년 특보를 두기로 했고 체육 특보도 둘 생각인데, 장애인 현안 논의를 위한 창구 역시 열어야겠다”며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특보를 두겠다고 약속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