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탄소중립대학원 및 에너지화학공학과 임한권(사진) 교수팀이 ‘폐배터리 재사용에 관한 경제성’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너 프로덕션’ 11월호에 출판했다고 1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는 80% 정도 쓰면 폐기하는데, 아직 사용할 수 있어도 고출력용 자동차에는 적당하지 않아서이다. 이번 연구는 폐배터리를 태양광 발전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적용했다.
이번 연구는 ‘1㎿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는 3㎿h ESS’를 기준으로 삼았다. 여기에 ‘태양광 발전 사업자에 지급되는 보조금’과 ‘폐배터리의 남은 수명’을 고려해 최적 가격을 도출했다.
연구결과, 보조금은 1㎿h 당 0~100달러까지 가정하고, 폐배터리의 남은 수명은 5년, 10년, 20년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보조금이 60달러 미만일 때는 경제성이 나오지 않았다. 분석에는 연간 태양광 이용률과 ESS 용량 감소, 투자회수기간까지 고려했다. 폐배터리 가격은 투자회수기간이 길어질수록, 보조금이 줄어들수록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사용 후 배터리의 가치 산출’에 대한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 주목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기술혁신사업과 수요기업 맞춤형 고출력축전기(슈퍼커패시터) 성능고도화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