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경 통한 간 절제술 시행땐 합병증 발생률 절반으로 감소
상태바
복강경 통한 간 절제술 시행땐 합병증 발생률 절반으로 감소
  • 석현주 기자
  • 승인 2019.10.03 2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동안 개복수술이 주로 시행돼왔던 간 절제 수술에 복강경을 이용할 경우 합병증 발생률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김기훈 교수팀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간세포암으로 간 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복강경 수술 환자(217명)의 합병증 발생률이 6.5%로 개복수술 환자(434명)의 12%보다 낮았다고 밝혔다.

간은 혈관이 많은 데다 해부학적 구조도 복잡해 절제 시 출혈 위험이 상당히 높다. 이 때문에 간을 절제할 때는 시야 확보가 좋은 개복수술이 주로 시행돼왔으나 최근 들어 복강경 수술도 활발해지는 추세다.

복강경 간 절제술은 미세침습 방식이어서 상처, 통증, 출혈이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회복이 빠르다 보니 입원 기간도 복강경 수술 환자가 개복수술 환자보다 약 일주일 정도 짧았다. 개복수술 환자는 평균 14.8일간 입원했으나 복강경 수술 환자는 평균 8.9일간 입원 후 퇴원했다. 출혈로 인해 수혈을 받은 비율도 복강경 수술 환자에서는 1.8%로 개복수술 환자(3.5%)의 절반에 그쳤다.

다만 5년 장기생존율은 복강경 수술 환자가 78.6%, 개복수술 환자가 84.3%로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았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