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기후변화센터는 지난 17일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에서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산업 정책의 방향’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국내의 더딘 해상풍력 보급 현황과 정책적 불확실성 등 현 상황을 진단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은 국제 해상풍력 시장이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26GW 규모의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는 반면 국내 해상풍력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풍력 설치 용량의 불과 8.1%를 차지하며 제대로 된 시장 형성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6GW 규모의 울산 앞바다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 첫삽도 뜨지 못한 만큼 변수가 산재해 있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우선 지정을 추진 중이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현실이다.
이와 관련, 강화구 HD현대일렉트릭 수석매니저는 “한국 시장이 뒤처진 상황을 따라갈 수 있다는 시그널을 글로벌 마켓에 보여줘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불확실성이 제거돼야 하는 만큼 국회에서 계류 중인 해상풍력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풍력발전에 대한 보급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산업 육성에 방점이 찍혀 있는 만큼 산업부 등이 발족한 ‘풍력산업 혁신포럼’을 통해 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해상풍력 산업은 지방정부에게 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만큼 수산업과의 조화로운 발전, 지역 교육기관과 연계한 인력 양성 등을 정부의 마스터플랜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조언도 제시됐다.
김윤성 해상에너지산업체포럼 대표는 “해상풍력 밸류체인이 광범위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임에도 산업 정책으로서의 해상풍력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국가전략기술에 해상풍력을 포함해 공급망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