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16)철령 높은 봉을 - 이항복(1556~1618)
상태바
[한분옥 시조시인의 시조 美學과 절제](16)철령 높은 봉을 - 이항복(1556~1618)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05.0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령 높은 봉을 쉬어 넘는 저 구름아
고신원루를 비 삼아 띄어다가
임 계신 구중심처에 뿌려 본들 어떠리



“전해지지 못한 충정의 비통함”

햇빛을 영원히 가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잠시 구름이 가릴 뿐이다. 지금 이 시대, 안개 낀 정치국면을 걷어내는 충정의 직언이 필요함이 간절하다.

백사 이항복은 입진왜란과 정유재란에 다섯 차례에 걸쳐 병조판서로 난을 지휘하며 군을 정비했던 충신이다. 임란 때 조정을 선조 임금과 세자 광해군은 국정을 분조(分朝)해서 운영했다. 그때 백사 이항복은 세자 광해군을 받들며 왜의 유린에서 국토를 지켜가며 광해군과 동고동락한 적이 있다. 또한 임란 3대첩 중 행주대첩을 이끌어 낸 권율장군의 사위로서 역할을 다한 백사 이항복이었다.

41세에 영의정에 올라 선조를 의주까지 호송했으며 명나라에 원병을 청했다.

영창대군 사사와 인목대비 폐비 이후면 정국의 소용돌이 속에 모시던 임금도 무사할 수 없을 거라는 생각에 인목대비 폐비론을 극력 반대했다. 그러나 임금 광해군은 충신의 직언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결국 함경도 북청으로 귀양을 떠나게 되니 충신의 심정이 어떠하였겠나.

이 시조는 함경도 북청(北靑)으로 가는 유배 길에 강원도 철령 높은 봉을 넘어가며 읊었다.

겹겹 깊은 심처에 당쟁의 반대 정파에 둘러싸인 임금께 전해지지 못하는 충정, 그 안타까움이 진하게 느껴진다.

높은 봉우리를 쉬어 넘는 구름을 불러 외로운 신하의 비통함을 비가 되어서라도 전하고픈 충신의 눈물로 쓴 시조이다.

뒤에 광해군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쳤지만, 권신들 때문에 불러오지 못했다. 만고충신 백사는 끝내 외면당하고 북청, 귀양처에서 해배되지 못한 채 늙은 신하는 돌아가고 말았다.

광해군은 조선의 제15대 왕으로 임진왜란 이후 부국강병의 기틀을 다졌지만 인조반정에 폐위되고 말았다. 결국 충신의 직언을 받아들이지 못한 신하의 눈물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후대인들에게 잘 보여주는 시조이다. 올바른 정국을 이끌어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목숨을 걸고 직언하는 충신이 지금 이 시대에도 절실하다. 한분옥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