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자 14명이 들려주는 ‘부산미각’
상태바
인문학자 14명이 들려주는 ‘부산미각’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05.21 0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에 살며 부산 음식을 먹고 자란 인문학자 14명이 ‘부산의 맛’에 담긴 역사와 이야기를 담은 책 <부산미각>(문학동네, 279쪽)을 펴냈다.

부산은 역사적으로 대륙과 해양의 관문으로, 부산을 통해 한·중·일은 물론 동남아, 유라시아 문화가 교류했다. 그리고 그 역사는 음식에 고스란히 남았다.

저자 중 한 명인 최진아 부산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이 책에 “부산의 식탁은 대륙과 해양의 미각을 거침없이 차려낸다”며 “그 안에는 저 멀리 북방 초원의 유목민족이 즐기던 농축된 맛과 바다 건너 일본 어느 시골의 소박한 맛이 모두 담겨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부산 사람들의 소울푸드’인 돼지국밥부터, 밀면·동래파전을 거쳐 대선소주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로컬푸드를 한 상 푸짐하게 차려낸다.

저자들은 재첩국·돼지국밥·밀면 등을 피란의 아픔을 이겨낸 생명력 있는 음식으로 분류한다.

일례로 재첩국은 낙동강 하구에서 캔 재첩으로 만들어 ‘재치국 아지매’가 골목골목 “재치국 사이소”를 외치며 새벽 배송하던 보통 사람의 첫 끼였다고 한다.

또 완당·부산오뎅·양갱 등은 대륙과 해양이 만나 새롭게 탄생한 음식이고, 동래파전·금정산성막걸리·대선소주는 무뚝뚝한 부산 사람들의 속 깊은 정을 느낄 수 있는 음식이라고 저자들은 설명한다. 차형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