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5월까지 이뤄지는 마지막 평가 과정 중의 하나로, 앞으로 남은 1년간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의 추가적 요청 자료에 대한 대응 등이 유산 등재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공식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지난달 27~31일 ‘반구천의 암각화’ 일대를 실사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장실사는 서류 심사, 패널 회의 등 여러 전문가의 참여로 진행되는 세계유산 심사 과정의 한 단계다.
이코모스에서 지명한 벤자민 스미스 서호주대(UWA) 교수는 닷새간 울산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의 반구대 암각화,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등을 둘러보며 유산 현황을 점검했다. 스미스 교수는 암각화 보존 관리와 활용 현황을 살피고 관련 기관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이코모스는 현장 실사 결과와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심사를 바탕으로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유네스코와 당사국에 전달한다.
앞서 국가유산청은 올해 1월말에 ‘반구천의 암각화’를 202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등재신청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바 있다. 3월에는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의 완성도 검사를 통과했다.
최종 결과는 2025년 7월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 심사에서 보고될 예정이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현장 실사는 심사 과정의 한 단계로 서류 심사, 패널 회의 등 내년 5월까지 평가는 계속된다”며 “세계유산에 등재될 수 있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충족하는지 여부와 유산의 보존, 관리, 모니터링, 관리 체계, 이해관계자의 문제가 없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시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 관계자는 “올해 1월 모든 내용이 담긴 등재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앞으로는 부족한 부분에 대해 추가적으로 자료를 요청하면 그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라며 “최종 등재 심사 때까지 차질없이 준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