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는 6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국제공항 디지털전환·미래 모빌리티 혁신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공항 내 상용·특수 차량의 친환경 모빌리티로의 전환과 수소 인프라 확대, 공항물류 자동화·지능화 로봇 등 로보틱스·스마트 물류시설 도입 등에 협력한다.
또 △AAM 생태계 구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적기 도입 △미래기술 전시·홍보 △기업 비즈니스 지원 등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은 IT기술 강국인 대한민국의 관문 공항의 이점을 살려 ‘디지털 대전환’을 미래 모빌리티 영역으로 확장한다. 이용객과 관계자가 첨단 모빌리티 신기술을 공항 전역에서 누릴 수 있게 ‘글로벌 기술 융복합 운송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향후 연간 1억명이 넘는 여객이 오갈 글로벌 메가 허브 공항에 핵심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구현한다. 자사의 혁신 기술을 전 세계에 소개하고 이용자 반응을 폭넓게 살피는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말 4단계 건설사업이 완료되면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수용 능력은 기존 7700만명에서 1억600만명으로 늘어난다. 화물 처리 용량도 500만t에서 630만t으로 증가하는 등 국제선 여객 기준으로 세계 3위의 인프라를 갖춘 글로벌 메가 허브 공항으로 도약하게 된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는 모든 이용객이 공항 전역에서 혁신적인 이동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구현할 계획이다”며 “이동 경험을 확장하고, 인천국제공항이 다양한 스마트 모빌리티가 오가는 허브 공항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정혜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