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과 사모펀드 MBK가 고려아연 경영권을 인수하더라도 해외 재매각을 원천차단하고,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 산업을 뒷받침하는 핵심 국가기간 기업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고려아연은 지난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자사가 보유한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25일 밝혔다. 고려아연이 신청한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하는 산업부의 결정은 이르면 내달 중에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고려아연은 “대상 기술은 이차전지소재 전구체 관련 기술로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이라는 입장문을 내놓았다.
보호할 필요가 있는 국가핵심기술은 산업부가 지정해 특별 관리한다.
정부 예산이 투입된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M&A 등의 방식으로 외국 기업에 매각될 경우 산업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부 예산이 투입되지 않은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의 경우도 정부가 ‘국가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인수를 금지하거나 원상 회복 등의 조치를 명령할 수 있다.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조선, 원자력 등 13개 분야에서 75개 기술이 지정돼 있다.
고려아연이 확보했거나 확보하려는 기술 중에는 정부 예산이 투입된 사업도 있다. 고려아연은 ‘저순도 니켈 산화광 및 배터리용 고순도 니켈 원료 소재 제조 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10개 산학연 기관과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고려아연이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하면 경영권 확보를 노리는 MBK에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추후 엑시트(투자금 회수) 과정에서 정부 승인 등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매각 대상자를 찾기 쉽지 않을 경우 제값 받기도 어렵게 된다. 고려아연도 이를 고려해 국가핵심기술을 신청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