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교육청과 울산 중구청은 유보통합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인력 파견을 결정하고 실무협의를 벌이고 있다.
울산 유보통합 대상은 올해 3월 기준 영유아 2만9262명이다. 유보통합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관리 체계를 일원화해 0~5세 모든 영유아가 차별 없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다.
시교육청은 정부 방침에 따라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시교육청 입장에서는 유보통합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핵심 과정이 필요하다. 당분간 지자체로부터 보육업무를 받아와 공동 수행할 수 있는 인력과 시스템이 마련돼야 하는 것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지자체와의 실질적 협업에 나섰다.
최근 시와 5개 구군을 대상으로 유보통합과 관련된 협의를 요청한 결과, 중구와 인력 파견을 통해 행정기반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나머지 지자체들은 조직 여건상 협력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교육청 인력 1명은 오는 9월1일자로 중구 가족복지과 보육팀으로 파견될 계획이다. 파견 인력은 향후 시교육청이 맡을 보육업무를 사전에 파악하고, 통합전산시스템 등을 익힌다. 지자체와 협력체계 조성, 유보통합 실무매뉴얼 구축 업무 등도 맡게 된다.
다만 정부 차원의 통합기관이 출범도 하지 못한 데다, 관련 법 개정안도 국회에 계류 중이어서 유보통합의 전면 시행 시점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와 관련해 3대 교원단체인 교총·전교조·교사노조는 지난 15일 ‘유보통합 공동 제안문’을 통해 “유아 공교육과 보육 공공성의 강화가 국가 책임형 유보통합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며 정부에 유보통합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울산시교육청 유보통합조정팀 관계자는 “유보통합은 영유아 모두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제공하는 중요한 변화”라며 “이번 인력 파견을 비롯해 울산형 유보통합 ‘두빛나래’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