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업계 “AI 정책 지지…대기업 집중엔 우려감”
상태바
벤처업계 “AI 정책 지지…대기업 집중엔 우려감”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5.07.30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벤처업계가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에 압도적 지지를 보내면서도 정부 지원이 대기업에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벤처기업들은 GPU(그래픽처리장치) 인프라와 연구개발(R&D) 과제에 대한 중소기업 의무 할당, AI 패스트트랙 등 산업현장 맞춤형 대책을 강하게 요구했다.

벤처기업협회는 산하 AX(Advanced Transformation) 브릿지위원회가 지난 11~27일 국내 벤처기업 대표 및 임원 4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부 AI 정책 인식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7.4%가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협회는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막대한 정부 지원이 AI 기술을 직접 개발하는 대기업이나 일부 스타트업에만 집중돼서는 안 된다”며 “AI를 필요로 하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중소벤처기업과 제조·의류·물류 등 전통산업 중견기업들까지 폭넓게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고 강조했다.

벤처기업들이 꼽은 주요 요구사항은 ‘AI 인프라 바우처’ ‘R&D 중소기업 할당제’ 도입이었다. 협회는 “가장 시급한 GPU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확보할 GPU 5만개 중 30% 이상을 중소벤처기업에 의무 할당하고, 이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 인프라 바우처를 도입해 달라는 요구가 컸다”고 밝혔다.

또 정부의 AI 예산 배정과 R&D 과제 선정 시 중소기업 의무 할당 비율을 40% 이상으로 확대하고, 신청부터 자금 집행까지 30일 이내 처리하는 AI 패스트트랙 제도를 신설해 속도감 있는 지원을 보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벤처기업의 AI 도입 현황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AI를 전사적으로 도입해 전문기업 수준에 이른 기업은 14.2%에 불과했으며, 일부 업무에만 활용하는 기업은 31.8%, 도입 검토나 시범 도입 단계는 54.1%로 집계됐다.

이들 초기 단계 기업이 꼽은 도입 장애 요인은 투자비용 부담(32.0%), 기술 전문성 부족(28.6%), AI 인력 부족(26.2%) 등이었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대한민국 AI 성공의 척도는 몇 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했는가가 아니라 수만 중소·벤처기업 현장에 AI가 얼마나 깊숙이 스며들었는가로 평가될 것”이라며 “정부의 AI 3강 도약 비전은 모든 중소·벤처기업이 스스로 AI 전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두를 위한 AX 정책이 뒷받침될 때 완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