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과 여권에 따르면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이재명 대통령 취임 두 달이 가깝도록 미뤄져 온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이 가시권에 접어들면서다.
취임과 동시에 닥친 한미 통상 파고를 넘어선 이 대통령으로선 안보 문제를 포함한 한미 관계 전반을 두고 벌이는 또 하나의 시험대에 오르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국익을 지켜내기 위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용산 대통령실의 전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관세협상 내용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투자 액수는 2주 내로 이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에게 ‘다음 주라도 날짜를 잡으라’고 했다고 한다. 곧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구체적 날짜와 방식 등을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8월 중순을 전후해 정상회담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그간 각종 돌발 변수로 미뤄져 온 정상회담이 관세협상 타결을 계기로 이뤄지는 셈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다자간 정상회의 무대에서 여러 차례 트럼프 대통령과 대면할 계획이었으나 매번 외부 상황 탓에 불발됐다.
지난 6월16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캐나다를 방문했지만,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의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상황을 이유로 일정을 중단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면서 만나지 못했다.
같은 달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정상회의도 한미 정상이 만날 무대로 거론됐으나 이번에는 이 대통령이 중동 정세 등을 고려해 고심 끝에 불참 결정했다.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도 현지에서 예정된 미국, 나토, 인도·태평양 4개국(IP4) 간 회동에 불참함에 따라 이 대통령은 옳은 결정을 한 셈이 됐다. 그러나 가장 강력한 동맹인 미국의 대통령과의 만남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일각의 우려를 자아냈던 것도 사실이다.
가장 중요한 동맹과의 교류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비칠 수 있고, 나아가 이 대통령의 국정 동력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관세협상 타결과 함께 한미정상회담 조율도 본격화하면서 이 대통령은 대내외적 부담을 한층 덜게 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의제들은 녹록지 않다. 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오히려 짐이 커질 수도 있는 만큼 주도면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상회담에선 이날 타결된 통상협상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는 등 후속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양국 간 설명이 미묘하게 차이를 보였던 타결 조건이나 그 해석 등을 두고 줄다리기가 벌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