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을 비롯한 국내 조선업계가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힘을 모은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체 ‘빅3’인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최근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에 돌입했다.
1500억달러(209조원) 규모 조선 전용 펀드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하고 양국 간 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각사별 임원과 직원이 한 명씩 참여한 구조로 알려졌다.
한 차례 상견례 모임을 가진 TF는 조선업계 휴가 기간이 끝나는 대로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한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과의 무역 합의를 통해 1500억달러 규모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전체 3500억달러(487조원) 펀드의 43%를 차지하는 단일 업종 최대 규모 펀드로, 국내 조선사들의 대미 투자를 공적 금융 중심으로 뒷받침하는 구조로 풀이된다.
현재로선 조선 협력 펀드의 구체적인 안이 드러나지 않아 향후 한미 정부 간 논의에 따라 TF 활동이 본격화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포괄한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향성은 잡히지 않았다.
펀드가 기업 수요에 기반한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인 가운데 조선 3사가 TF라는 논의 테이블을 통해 대미 전략을 공유하고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 3사의 각기 다른 대미 진출 속도와 방향성을 잘 조율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HD현대는 미국 현지 조선사들과 건조 협력, 역량 공유 등을 통해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CO)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을 공동 건조하기로 했고,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와는 건조 비용과 납기를 개선하기 위한 역량을 공유한다.
한화그룹은 1억달러를 들여 미국 현지의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는 등 대미 투자에 가장 적극적이라고 평가받는다.
현재 설비 투자, 일자리 창출, 기술 이전 등을 진행 중으로 연간 1~1.5척인 건조 능력을 2035년까지 10배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삼성중공업도 최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현지 조선소와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공동 건조, 사업 확대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 기회를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펀드 자체가 ‘G2G’(정부 간 협력) 성격이 강하다”며 “현재 TF는 업계 동향을 파악하고 미국 등 정보를 수집해 공유하는 정도겠지만, 향후에는 조선업계 수요를 수렴해 정부에 전달하는 창구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