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치유농업센터 조성 추진 지지부진
상태바
울산 치유농업센터 조성 추진 지지부진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5.08.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이 오는 2027년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치유농업센터’를 설치할 계획인 가운데 울산시는 뚜렷한 추진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5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광역 단위 치유농업센터는 지난 2021년 본격적으로 도입돼 현재까지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제주, 서울 등 8개 지역에 문을 열었다.

올 하반기에는 강원, 경남, 인천, 광주 등에서 추가 개소를 앞두고 있으며, 내년에는 부산에서 센터가 문을 연다.

농진청은 울산을 비롯해 대구, 대전, 세종 등 4곳에 2027년 개소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라고 독려 중이지만, 울산은 미온적인 대응으로 속도가 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치유농업센터는 도시민의 심리·신체 회복과 농촌자원의 융복합을 통해 농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이다.

특히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위한 컨설팅과 창업지원을 수행하는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며, 청년 농업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센터 설치에는 총 1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며, 이 중 절반인 5억원을 해당 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울산시는 2028년 울산국제정원박람회 등 대규모 국가행사를 앞두고 막대한 시비 투입이 예정돼 있어 예산 배정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정된 예산 안에서 선택과 집중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울산 시정에서 농업·농촌 관련 기반시설이 반복적으로 후순위로 밀리는 데 대한 아쉬움도 크다.

인구 구조의 고령화, 귀농·귀흥 증가, 도시민 대상 농업 프로그램 수요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울산 역시 중장기적인 농업 기반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의 한 농업인은 “농업은 단순히 식량을 생산하는 1차 산업이 아니라 힐링, 교육, 관광까지 아우르는 융합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울산이 이런 흐름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된다면 농촌 소멸 문제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모든 시도가 일률적으로 같은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방식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단순히 전국에 동일한 시설을 설치하는 데 그치기보다는 각 지역의 특성과 행정 여건, 산업 구조, 주민 수요 등을 충분히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려다는 것이다.

실제로 농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도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울산의 경우 다른 농촌 중심 지자체와는 수요와 운영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 같은 여건 차이를 무시하고 형식적으로 동일한 모델을 도입하게 되면 실제 운영에서 효과를 거두기 어렵고, 투자 대비 효율성 또한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치유농업센터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한정된 재정 안에서 도시 전체 전략과의 정합성, 예산 우선순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