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10명 중 7명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으며, 그 이유는 생활비 마련이 주를 이뤘다. 이들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55~79세 고령층 인구는 1644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만4000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인구 중 비중은 36.0%다.
이 가운데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00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000명 늘며 2005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34만4000명 증가했다.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전년 대비 0.3%p, 0.5%p 상승하며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서 고령층 비중이 높았고,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가 많았다. 반면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 비율은 낮았다.
생애 주된 일자리를 끝까지 지키지 못한 비율도 컸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현재도 일하는 사람은 30.1%에 그쳤다.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52.9세였으며, 사유로는 사업 부진·휴업·폐업(25.0%), 건강 악화(22.4%), 가족 돌봄(14.7%) 순으로 나타났다.
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을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고령층 연금 수령자는 850만2000명(51.7%)으로 절반 수준이었고, 월평균 수령액은 86만원에 불과했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추산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136만1000원)의 63%에 그친다.
이 때문에 고령층 10명 중 7명(69.4%)은 “앞으로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이들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로, 201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근로 희망 이유는 생활비 보탬(54.4%)이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6.1%), 무료함 해소(4.0%) 등이 뒤를 이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