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A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역량 강화와 사고 발생 시 신속·체계적 대응을 위해 6종의 건설사고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취약근로자 안전지원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마련된 시나리오는 △안벽구조물 파손 △선박 충돌로 인한 화재·폭발·해양오염 △차량계 건설기계 깔림 △고압 활선작업 감전·화상 △잠수부 익수 △건설근로자 한랭질환 등이다. 사고 유형별 초동조치부터 수습·복구까지 단계별 절차와 대응조직, 유관기관 역할이 포함됐다.
UPA는 4분기 중 해당 시나리오를 활용한 합동훈련을 실시해 실효성 있는 안전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항만시설물 신속 복구를 위한 보수·보강 협업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취약근로자 지원 개선책으로는 다국어 소통을 위한 휴대용 언어 변환기, 고령 근로자용 건강 스마트밴드, 여성근로자 전용 휴게시설 등이 포함됐다. 이들 장비와 시설은 추가 검토를 거쳐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오상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