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15곳 폐점, 생존경영 차원 결정”
상태바
홈플러스 “15곳 폐점, 생존경영 차원 결정”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5.08.22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 협상 결렬로 전국 15개 임대 점포의 순차적 폐점 절차에 들어간 점에 대해 회사 측은 회생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또 직원 고용을 전원 보장하고 입점주 보호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21일 입장문을 통해 “과도한 임대료로 연간 약 80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하는 15개 점포에 대해 임대차계약을 해지하고 순차적 폐점을 준비한다”며 “이는 10만명에 달하는 임직원과 입점주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생존경영 차원의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회생절차 개시 이후 지난 5개월간 68개 임대점포 임대인과 협상을 진행해 50여곳에서 임대료를 낮췄다.

그러나 이번에 폐점 대상으로 지정된 15개 점포는 임대료 인하 협상에서 진전이 없어 적자 상황이 지속됐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폐점 점포 직원들의 고용을 100% 보장하고 인근 점포로 재배치하며, 고용안정지원금도 지급할 계획이다.

입점주들에 대해서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히 살피고, 폐점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보상 방안과 향후 계획을 상세히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회생절차로 인해 많은 분들에게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한 마음”이라며 “반드시 회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10만명의 소중한 삶의 터전인 홈플러스를 지켜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홈플러스 입점 점주 협의회는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본사가 발표한 15개 점포 폐점 결정을 강하게 규탄했다.

점주들은 폐점으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며 정부 차원의 조사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점주들은 특히 원상복구 비용 전가 문제를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협의회는 “폐점 지점의 입점 점주들은 계약 종료에 따른 시설 원상복구 비용을 부담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이는 홈플러스가 책임져야 할 비용을 점주들에게 떠넘기는 파렴치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어 “MBK는 단기 수익과 투자금 회수에만 몰두해 홈플러스의 부실 경영을 방관했다”며 “정부와 국회, 사정기관이 김병주 MBK 회장의 홈플러스 인수 과정과 지난 10년간 자금 흐름에 불법성이 없었는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상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추억 속 ‘여름날의 할머니집’으로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