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은행 점포가 최근 5년여 만에 5곳 중 1곳꼴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약속한 ‘은행대리업’ 제도는 여전히 시범 운영조차 진척이 없어, 고령층과 지방 거주자의 금융 소외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이 은행연합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시도별 점포(출장소 제외)는 2019년 말 5654곳에서 올해 7월 말 4572곳으로 줄어들었다. 감소율은 19.1%에 달했다.
울산 역시 같은 기간 20.3% 줄어, 대구(-23.6%), 서울(-22.6%), 경남(-21.3%), 대전(-20.8%), 경북(-20.2%)과 함께 평균을 웃도는 감소폭을 기록했다. 전국 주요 광역시 가운데서도 감소율이 가장 큰 축에 속하는 셈이다.
또 5대 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의 이동형 점포 서비스 역시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도 대응책을 내놓았지만 실행은 더디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부터 은행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관련 정보를 확대 공개하고 있다.
또 올해 3월에는 우체국·저축은행에서도 예금 개설이나 대출을 처리할 수 있는 ‘은행대리업’ 제도를 연내 도입하겠다고 했으나, 아직 시범 운영조차 시작되지 않았다. 오상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