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내리막길을 걷던 울산의 합계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200명 증가하면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합계출산율이 증가로 돌아섰다. 이는 저출산 기조 속에서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추락 직전의 위기에서 일어난 극적인 반전이다.
그러나 울산은 여전히 자연적 인구감소(출생-사망)와 사회적 인구감소(인구 유출)로 인해 지역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울산시와 구·군 등은 이번 출산율 상승을 지속 가능한 인구 정책 추진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합계출산율은 0.86명으로 전년(0.81명)보다 소폭 상승했다. 울산의 합계출산율이 상승한 것은 2015년(1.49명) 이후 9년 만이다. 8대 특·광역시 중 세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지난해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출생아 수 증가에 힘입어 9년 만에 상승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이런 출산율이 인구 구조 전환의 분기점이 되려면, 더 냉정한 현실 인식이 필요하다. 2025년 2분기 기준 울산의 총인구는 109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6639명 줄었다.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자연감소 인구는 372명에 달한다. 여기에 순이동자 수가 -1280명으로, 전출이 전입을 크게 앞섰다. 전출자는 대부분 10~30대에 집중돼 있고, 주요 유출지는 경기·서울·경북 순이다.
청년 유출은 곧 가임 여성의 감소로 이어지고, 다시 출산율 하락을 부른다. 악순환의 고리다. 일시적 수치 반등이 구조적 위기를 가릴 수는 없다. 울산이 이 흐름을 바꾸려면 단순한 출산 장려금이나 캠페인으론 부족하다. 양육 친화적 정주 여건, 청년층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 일자리, 고품질 공공보육 서비스가 동시에 뒷받침돼야 한다.
제조업 기반의 고용 안정성은 울산의 장점이다. 그러나 문화·복지 인프라, 교육환경, 청년 주거 등은 수도권 대비 매력이 떨어진다. 울산형 AI특구 조성, 고령친화도시 조례, 광역형 비자 제도 같은 시도들이 정주 환경과 연결될 때 비로소 인구 회복의 실마리가 된다. 청년이 떠나고 아이가 줄면 결국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지역 경제와 복지 시스템 전반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출산율 반등을 일회성 성과로 소비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 인구 전략의 시작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구는 하루아침에 늘지 않지만, 방향은 지금 설정돼야 한다. 울산이 지방소멸 위기를 넘어 인구구조 전환의 선도 도시가 되기 위해, 행정의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대응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