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2026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자체가 지역별로 직면한 재난·안전 문제를 직접 발굴해 연구개발 과제로 제안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국 12개 시·도에서 총 34개 과제가 접수됐으며, 심사를 거쳐 울산시의 제안을 포함해 6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시가 제시한 과제는 ‘고위험 에너지저장장치(ESS) 다중감지기 AI 기반 조기경보·자동격리 및 사고원인 분석·데이터화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이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전국 곳곳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ESS 화재·고장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사업이다.
현재까지 ESS 안전관리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의존해 전기적 데이터만을 분석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미리 포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왔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해 가스, 연기, 진동, 온습도 등 비전기적 복합 데이터를 함께 수집하고, AI로 통합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위험 징후의 조기 감지 △사고 발생 시 자동 격리를 통한 피해 확산 차단 △사고원인 데이터화 및 분석 자료 축적 등 안전관리 전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구현하게 된다. 단순한 경보 체계를 넘어 예방·대응·사후 관리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설루션을 제공하는 셈이다.
시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 국비 14억원, 시비 3억5000만원 등 총 17억5000만원을 투입해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는 모범 사례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은 전국에서 ESS와 대형 물류창고 배터리 설비 등 고위험 에너지 인프라가 가장 많이 밀집한 산업도시 중 하나”라며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재난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산업도시 울산의 지속가능한 안전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