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동구가 주민 생활체육 공간 확충을 위해 추진해 온 대송동 생활문화체육시설 건립이 부지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김종훈 동구청장 임기 내 착공을 목표로 했지만, 도시관리계획과 토지 소유권 문제가 얽히면서 사업 추진이 사실상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3일 동구에 따르면, 동구는 당초 대송공원 활용도를 높이고 노후화된 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50억원 규모의 생활문화체육시설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주민 이용률이 떨어지는 대송공원의 시설을 개선하고 부족한 체육·문화 수요를 맞추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대상 부지가 도시관리계획 상 학교부지로 지정돼 있어 사업 추진이 순탄치 않았다. 지난해까지는 울산시교육청이 이곳을 학생창의누리관 후보지로 검토하면서 동구의 계획과 사업 대상지가 겹쳤고, 결국 사업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시교육청이 지난해 3월 방어동 옛 메이퀸컨벤션 웨딩홀 부지를 최종 사업지로 결정함에 따라 대송동 부지는 시교육청 계획에서 제외됐지만 생활문화체육시설 건립 추진이 곧바로 속도를 낸 것은 아니다. 해당 부지가 여전히 ‘학교부지’로 묶여 있는 데다 토지 소유권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 부지는 울산과학대가 속한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의 소유로 시설 건립을 위해서는 관리계획 변경과 토지 매입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
더불어 국토교통부와 울산시 등 일부 소유권을 가진 기관과도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행정절차를 넘어 예산 확보와 활용 방안 재수립까지 요구돼 단기간 내 착공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부지는 공원으로도 주차장으로도 활용되지 못한 채 사실상 방치된 상태다. 주민들로서는 공간 활용이 아쉬운 상황이지만 동구는 신중한 검토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동구 관계자는 “토지 매입부터 도시관리계획 변경, 울산과학대 측과의 협의까지 거쳐야 할 절차가 많아 임기 내 사업 착수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예산 확보와 활용 방안을 새로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관내에 새로 개관한 체육시설이 많아 당장은 수요가 분산돼 있지만 주민 편의를 위해 최대한 빠르게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