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프를 시작하거나 실력을 높이고 싶은 분들이 흔히 하는 고민이 있다. 바로 ‘골프채 피팅을 해야 하나’, 그리고 ‘비용만큼 효과가 있을까’라는 질문이다. 흔히 피팅을 ‘프로 선수와 돈 많은 사람들이나 하는 사치스러운 과정’으로 오해하지만, 실제로는 기성채보다도 싼 피팅채들이 많아서 합리적인 투자에 가깝다.
피팅 클럽은 무조건 비쌀까?
피팅이라고 해서 반드시 수십~수백만 원짜리 헤드와 고급 샤프트를 써야 하는 건 아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브랜드의 헤드 및 샤프트 옵션이 있어, 본인 체형과 스윙에 맞춰도 기성품과 큰 가격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잘못 맞는 클럽을 여러 개 사는 비용보다, 한 번 정확히 맞춰 오래 쓰는 편이 더 경제적이다.
예를 들자면 기성 클럽들의 가격은 드라이버 60만~70만원대, 우드 30만~40만원대, 유틸 30만원대, 아이언(#5번~#PW) 100만원대, 웨지 20만원대, 퍼터 40만~70만원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마루망이나 혼마 같은 브랜드의 최상위 모델들은 풀세트로 구성하게 되면 수천만 원씩 하는 제품들도 많다.
피팅 클럽들은 기성채보다 더 싼 것도 있고 더 비싼 것도 있다. 꼭 비싸다고 좋은 건 아니기 때문에 스윙 분석을 통해 자기한테 맞는 클럽을 고르는 게 좋다.
그럼 피팅의 비용 대비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골프채는 단순히 ‘좋은 제품’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제품’이 중요하다. 같은 힘과 스윙을 해도, 무게·밸런스·샤프트 강도가 맞지 않으면 비거리와 방향성이 떨어지고 부상 위험도 커진다. 제대로 피팅 하면, 같은 힘으로도 더 멀리·더 정확하게 치는 효과가 있고, 연습 효율도 올라간다. 장기적으로는 레슨이나 연습장 비용보다 효과가 크다는 평가도 있다.
그럼에도 피팅에 대한 오해와 많다. 피팅의 진실은 무엇일까?
피팅은 프로만 하는 것이라는 오해가 대표적이다. 중·상급자일수록 자기에게 맞는 클럽이 필요하다.
비싼 샤프트가 좋은 샤프트라는 오해 역시 많다. 좋은 샤프트란 자신의 스윙 스피드와 근력에 맞는 것이다.
기성품이 무조건 싸다는 것은 절반 정도 진실이다. 기성품은 저렴해 보이지만, 맞지 않아 교체하거나 다른 모델을 사게 되면 결국 지출이 더 늘어날 수 있다.
결국 피팅은 ‘사치’가 아니라 ‘효율적인 투자’라고 볼 수 있다. 본인에게 맞는 클럽을 찾으면 골프의 즐거움이 배가 되고, 비용 대비 만족도 역시 높아진다.
중요한 것은 브랜드나 가격표가 아니라, 나의 스윙과 몸에 얼마나 최적화된 클럽으로 피팅 되어 있느냐다. 윤성원 골프 피팅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