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 구축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연계 탄소포집(CCU) 설비가 향후 연구·실증 중심의 테스트베드로 활용될 전망이다. 2021년부터 진행돼 온 실증 사업이 올해 종료를 앞두고 있지만, 후속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술 고도화 거점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동서발전은 올해 하반기 LNG 발전소에서의 이산화탄소(CO2) 포집 실증을 마무리하고, 후속 과제로 CO2 포집기술 고도화와 플랜트 운영 통합패키지 개발을 검토 중이라고 8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주한 ‘국내 최초 LNG 발전 CO2 포집 기술 실증’ 과제는 한국전력공사가 주관해 발전 5개 공기업과 민간기업, 학계가 함께 2021년부터 추진해왔다. 울산발전본부에는 1㎿급 포집 설비가 설치됐으며, 올해 8월에는 1000시간 연속 운전에 성공했다. 연간 50만t 규모로 확대할 수 있는 대형화 설계도 마무리되면서 후속 연구 기반을 마련했다.
연구는 올해 종료되지만, 정부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CCUS를 핵심 수단으로 규정한 만큼 기술개발은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동서발전은 자체 경제성 분석 결과, LNG 발전의 높은 전력·스팀 비용으로 인해 상업적 액화탄산 판매는 구조적으로 손실을 피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에 울산 CCU 설비를 상업운전보다는 연구·실증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것이 최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단·중기 활용계획(안)’을 마련했다.
동서발전이 제안한 후속 과제 명칭은 ‘LNG발전 CO2 포집기술 고도화 및 플랜트 운영 통합패키지 개발’이다. 연구 기간은 약 18개월, 예산은 15억원 규모로 검토되고 있다.
후속 연구 방향은 △포집 효율 증대 △장시간 운전 데이터 기반 안전성 확보 △환경 배출물질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다. 글로벌 표준인 90% 포집률을 넘어 95%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공정 개선을 추진하고, 기동·정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포집 CO2 문제 해결도 모색한다. 또 장시간 운전 시 고온·고압 설비의 안정성 검증과 오염물질 저감 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국제 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통합 모델 확보를 목표로 한다.
동서발전은 9월께 미래기술융합원, 한전 등과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 10월 기존 과제 종료 후 설비를 휴지·보전한 뒤, 2026년 상반기 단기 후속 연구에 착수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다만 이는 동서발전의 제안 단계에 불과하며, 주관사인 한전과 정부의 확정 절차를 거쳐야 한다.
울산으로서는 탄소포집설비가 연구·실증 기능을 이어간다면 지역 산업과 기술 개발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울산은 국가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수소·원전·재생에너지와 함께 CCUS 분야에서도 선도 도시로 자리잡을 수 있다.
한국동서발전 관계자는 “효율·안전·환경을 아우르는 후속 과제를 통해 국내외 기술 상용화에 필요한 데이터와 특허, 운영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울산 테스트베드가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선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