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1·2인 고령가구와 늘어나는 ‘액티브 시니어’ 세대의 수요를 감안해 지역 여건에 맞는 노인 주거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울산연구원은 9일 발간한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42호와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74호를 통해 “사회구조 변화로 홀몸노인과 노인부부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만큼 고령자의 특성과 선호를 반영한 수요맞춤형 주거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울산의 65세 이상 인구는 19만8045명으로, 전체 인구(109만2989명)의 18.1%를 차지한다.
2020년(12.3%)보다 약 6%p 증가한 수치로, 고령화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여기에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액티브 시니어’(55~65세)도 약 20만명에 달한다.
이주영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위원은 도시환경브리프에서 “향후 울산 신규 공공택지에 실버스테이 유형의 고령자 맞춤형 주택을 공급해 늘어나는 주거 수요에 대응하고, 지속 거주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추진 중인 ‘시니어 레지던스’와 ‘실버스테이’ 같은 새로운 고령자 주거 유형을 울산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버스테이는 응급안전 확인, 식사 제공, 생활 지원 등 서비스를 갖춘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으로 올해 전국 1500호 이상 공급이 추진되고 있다.
같은 날 발간된 경제사회브리프는 고령세대의 경제력에도 주목했다.
가계금융복지조사(2025)에서는 50~59세의 32.9%가 연소득 1억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고령층에서도 주거 소비시장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윤형 문화사회연구실장은 “지금까지는 소득이 낮거나 의존도가 높은 계층을 위한 정책에 치중해 왔다”며 “중위소득 이상 노인을 위한 주거·서비스 연계 정책은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소득, 중산층, 저소득층 등 계층별로 수요를 세분화해 경제력과 생활 방식을 반영한 다양한 유형의 주거공간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또 노인복지주택은 단순 거주 공간을 넘어 의료·돌봄·문화·식사·보안 등 종합서비스 제공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최근에는 단지 내 병원과 상업시설을 포함한 복합화·고급화 추세가 뚜렷하며, 이에 따라 운영 주체의 신뢰성과 공익성 확보, 운영평가 강화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