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AI·원전 허브, ‘탈원전’에 발목 잡히나
상태바
[사설]울산 AI·원전 허브, ‘탈원전’에 발목 잡히나
  • 경상일보
  • 승인 2025.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신규 원전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국가 에너지 정책의 대전환이 예고된다. 대통령은 “원전 지을 곳도 없고, 건설에는 15년이 걸린다”면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에 울산 산업계는 ‘탈원전 시즌2’ 현실화가 원전산업과 AI 수도 계획에 차질을 초래할까 우려하고 있다.

울주군 서생 주민들은 대통령의 “원전 지을 곳이 없다”는 발언에 실망스런 모습이다.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될 경우,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그동안 추진해 온 신규 원전 유치 운동이 물거품 될 가능성이 커진다.

서생 주민 4000여명은 지난 2023년 새울 원전 건설에 찬성하는 서명지를 울주군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하며, 신규 원전 유치를 공식 요청한 상태다. 인근 온양 주민들도 신규 원전건설을 바라고 있다. 원전 건설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는 주민들의 열망이 큰 상태다.

‘탈원전’ 정책으로의 회귀는 정부가 내건 ‘AI 3대 강국 도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태양광과 풍력은 날씨에 따라 변동성이 크지만, 원전은 24시간 안정적으로 대규모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면 공장이 멈추고 대한민국 산업의 심장이 멎을 수도 있는 일이다.

울산시의 ‘AI 수도’ 프로젝트에도 가시밭길이 점쳐진다. 울산시는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7조원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AI 중심지’로 발돋움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 중이다.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를 AI 데이터센터 설립 적지로 선정한 이유도 대규모 전력 수급의 용이성 때문이다.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되면, 막대한 전력 수요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중요한 원천을 잃을 수 있다.

이에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자력을 기저 전원에서 배제하는 것은 비과학적이고 현실성이 부족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무분별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국부 유출과 국내 산업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도 했다. 학회는 “원전 건설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지적은 지금 당장 원전을 건설해야 하는 이유”라며, 10년 뒤 전력 수요에 대비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국가 에너지 정책은 이념과 정치가 아닌 과학적 사실과 국익에 기반해야 마땅하다. 이념보다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산업계와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반영해 보다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에너지 정책을 수립해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퇴직했는데…2019년 월급이 또 들어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