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채용 트렌드는 ‘AI 역량’
상태바
하반기 채용 트렌드는 ‘AI 역량’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5.09.17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하반기 신규 채용에 ‘AI(인공지능) 역량’을 고려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들은 AI로의 전환을 위해 관련 전문 인력에 대한 필요성도 높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경제계 소통플랫폼인 ‘소플’을 통해 500여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하반기 기업의 채용 트렌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 채용문은 AI 역량, 소통, 직무 전문성을 갖춘 인재에 열릴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선 응답기업의 69.2%는 ‘채용시 AI 역량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이어 소통·협업 능력(55.4%), 직무 전문성(54.9%)을 갖춘 인재를 확보하겠다고 답했다. ‘도전정신·문제해결능력’(25.8%), ‘창의성·혁신 역량’(25.0%), ‘실행력·주도성’(20.8%), ‘윤리의식·신뢰’(19.0%), ‘글로벌 역량’(6.8%)(복수응답) 등이었다.

또 기업들은 하반기 채용에서 신입보다는 경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51%는 채용시 경력직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고, 신입과 경력을 모두 비슷하게 선호한다는 기업은 38.7%, 신입을 선호한다고 밝힌 기업은 10.3%에 불과했다.

또 ‘AI 전문 인력이 필요한가?’를 물은 질문에 기업의 69.4%는 ‘그렇다’라고 답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할 수 있는 인재(31.6%) △AI를 활용해 서비스나 업무 방식을 기획·운영할 수 있는 인재(25.9%) △AI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인재(15.8%) 등을 이유로 꼽았다.

노동 관련 법제도 변화가 기업들의 채용 계획 수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97.4%는 노동 관련 제도의 변화가 채용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주요 이슈는 주4.5일제(29.3%), 정년연장(26.7%), 노란봉투법(25.8%), 포괄임금제 폐지(15.5%) 등이 꼽혔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들이 AI 전환에 집중하고 있어 하반기 인재의 핵심 키워드도 단연 AI다”며 “미래기술에 대한 다양한 채용시장의 변화를 관찰해 산업부문의 인력수급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관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퇴직했는데…2019년 월급이 또 들어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