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이차전지 특화단지 2년…마더 팩토리 가능한가
상태바
[사설]울산 이차전지 특화단지 2년…마더 팩토리 가능한가
  • 경상일보
  • 승인 2025.10.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이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된 지 2년 남짓 지났지만, 성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삼성SDI, 고려아연, 현대차 등 13개 선도기업이 참여하고, 2030년까지 13조원이 넘는 민간 투자가 예고된 거대한 프로젝트다. ‘세계 최대 마더 팩토리’(핵심 생산기지)라는 비전을 내세웠지만, 현실은 초라하다. 핵심 기반 시설인 시험인증기관조차 마련되지 않았고, 정부의 국비 지원은 말뿐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밋빛 청사진과 달리, 현실은 제자리걸음조차 버거운 수준이다.

정부는 2023년 7월 울산미포와 온산국가산단 등 2개 국가산단을 포함해 6개 산업단지 면적 74.35㎢가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현재 울산지역 6개 국가·지방산업단지 내 관련 기업들은 이차전지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이차전지 시험인증기관은 한 곳도 없다.

이차전지 시험인증기관은 배터리의 안전성, 성능, 환경성을 확인하고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문제를 사전에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인프라다. 국가기술표준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기연구원 등이 대표적인 기관이다.

이처럼 시험인증기관이 없는 탓에 지역 기업들은 배터리 기술 인증을 위해 타 지역 기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기술개발 성과에 대한 검증과 상용화도 차질을 빚고 있다. 앞으로도 시험인증기관 없는 상태가 지속된다면, 지역 이차전지 산업의 신뢰성과 기술력 향상도 기대하기 어렵다.

더 큰 문제는 정부 차원의 지원 부족이다. 울산시가 추진한 ‘LFP 배터리 고효율·친환경 혁신 공정 기반 구축 사업’과 ‘이차전지 특화단지 기술개발’ 등의 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조차 넘지 못해 사실상 좌초됐다.

다른 이차전지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도 국비가 찔끔 배정되거나 표류 중이다. 울산을 미래 배터리 산업의 ‘마더팩토리’로 육성하겠다는 특화단지 지정 비전과 현실은 거리가 멀다.

시험인증기관 유치와 인프라 구축은 울산 배터리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전환점이자, 국가 차원의 배터리 전략 완성도를 높일 핵심 과제다. 더 이상 명분과 구호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 전환과 과감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울산이 진정한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려면 현실을 직시한 실행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