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는 급변하는 AI 기술의 동향을 공유하고, 올해 UNIST 연구 성과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미국 일리노이대 석학, LG AI연구원과 NC AI 대표 등 산업계 AI 전문가와 연구진 400여명이 참석했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은 행사는 2021년 첫 개최 이후 지역 혁신 AI 생태계를 견인하고 있다고 UNIST는 설명했다. 기조 강연에는 김주형 일리노이대학교 어배너-섐페인(UIUC) 교수가 로봇과 물리적 인공지능 환경에서의 ‘원격조작 기술의 재부상’을 소개했다. 이어 김승환 LG AI연구원 어플라이드 AI 연구그룹장은 ‘Agentic AI 시대: LG AI가 만들어가는 더 나은 세상’을, 이연수 NC AI 대표는 ‘창작의 새 시대를 열다: 멀티모달 AI 혁명’을 주제로 발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주경돈·유재준·윤성환·백승렬·이슬기 교수는 세계적 학술지에 게재한 우수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심재영 인공지능대학원장은 환영사에서 “AI가 산업 전반을 재편하는 시점에서 이번 행사는 학계와 산업계의 연구자들이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기회”라며 “UNIST AI 워크숍이 산학연 협력을 통한 AI 혁신의 촉매 역할을 하는 대표 학술행사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UNIST는 2020년 인공지능대학원 설립 이후 AI 노바투스 아카데미아, 노바투스대학원, AI 최고경영자과정 등을 통해 지역 산업 혁신을 위한 첨단 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