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허종식 의원은 2일 ‘해상풍력과 일자리 창출 효과’ 정책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해상풍력 누적 설치용량은 올해 10월 말 기준 0.12GW로, 정부 목표 대비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기후위기 대응과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실현을 위해 해상풍력 확대는 필수 과제로 꼽히며, 산업 경쟁력 강화와 대규모 고용창출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린피스(Greenpeace) 모델을 인용한 분석에서는 14.3GW 목표 달성 시 총 35만75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됐다. 이 중 제조업과 건설업이 각각 35%를 차지하고, 운영·정비(O&M) 분야는 20%(약 7만명)에 달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로 이어질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6.2GW 규모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를 추진 중인 울산은 약 15만5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보고서는 긍정적 전망의 실현을 위해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 탈피 △전문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가 선결과제라고 지적했다. 현재 터빈·블레이드·나셀 등 주요 기자재의 국산화율이 낮아 대규모 단지 건설 시 부가가치가 해외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 석박사급 전문인력 부족과 단기 프로젝트 중심 구조로 인한 숙련도 저하, 배후지역 생활여건 미비 등이 인력난의 원인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배후항만 인프라 투자 확대, 중·장기적으로는 규제 완화와 R&D 지원을 통한 자재 국산화, 전문 인력 양성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