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민수의 영어단어 이야기(21)]배달과 울산을 품은 delivery
상태바
[심민수의 영어단어 이야기(21)]배달과 울산을 품은 delivery
  • 경상일보
  • 승인 2025.11.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심민수 울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올해 상반기 출생아 수가 역대 최고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며, 2023년을 기점으로 합계출산율이 반등하고 있다는 분석이 최근 보도되었다. 반가운 소식이다. 오늘은 ‘출산’ 외에도 ‘배송’ ‘배달’의 뜻으로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영어 단어 delivery의 어원과 의미 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단어 delivery는 동사 deliver에서 파생된 명사형으로, 라틴어 deliberare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유롭게 하다’ ‘해방시키다’를 뜻하는 liberare에, ‘~로부터 분리하다’ ‘떼어내다’의 의미를 지닌 접두사 ‘de-’가 결합한 형태다. 이로 인해 deliver는 본래 ‘속박에서 풀어주다’ ‘해방시키다’라는 의미로 쓰였고, 예전에는 ‘죄수를 석방하다(deliver a prisoner)’라는 표현도 흔했다. 지금도 이러한 해방의 뜻이 일부 용례에서 유지되고 있다.

라틴어 liberare에서 파생한 단어로는 ‘자유롭게 하다’는 뜻의 liberate, ‘자유’의 liberty, ‘해방’의 liberation, 그리고 종교적 구원이나 구출을 뜻하는 deliverance가 있다.

Delivery가 ‘출산’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 데는 단순히 생명을 ‘배출’하는 행위가 아니라, 산모의 몸에서 아기를 ‘자유롭게’ 하는 과정이라는 개념이 담겨 있다. 중세영어 시기에는 ‘deliver a baby’라는 구문이 일반화되었고, 이는 이후 영어권 전반에 걸쳐 정착되었다.

이러한 의미는 근대 영어로 이어지면서 ‘어떤 대상을 특정 장소나 사람에게 인도하다’는 뜻으로 확장되었다. 편지를 배달하거나, 법적 문서를 전달하거나, 연설을 하거나, 판결을 내릴 때도 deliver가 사용된다. 이 모든 의미는 결국 ‘어떤 것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한다’는 공통 구조를 공유한다.

오늘날 delivery는 음식 배달의 의미로 가장 널리 쓰인다. 스마트폰 앱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것이 흔해진 지금, 많은 사람들에게 delivery는 곧 ‘배달 음식’과 연결되지만, 단어의 기원을 살펴보면 그 뜻의 외연이 얼마나 크게 확장되어 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심민수 울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준 ‘지각’
  • 필름부터 AI이미지까지 사진 매체의 흐름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