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계절한담(閑談)(161)]복날 삼(蔘)과 계(鷄)의 누드쇼
상태바
[이재명의 계절한담(閑談)(161)]복날 삼(蔘)과 계(鷄)의 누드쇼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0.07.20 2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재명 논설위원
…행여 머나먼 저승길 허기질세라/ 대추 밤 찹쌀 미리 얻어먹고/ 지옥 물에 목욕재개하고 나니/ 골수마저 녹아내려 온몸이 녹작지근하다/ 어린 것이 다리 꼬고 누워/ 인삼 하나 끌어안고/ 남세스럽게 누드쇼는 하지만/ 버젓한 한류스타이기에 여한은 없다/… /젓가락으로 잔인하게 꼬집어도 좋으니/ 뼈 마디마디 깔끔하게 추려 해탈시켜다오…‘삼계탕’ 일부(권오범)



지난 16일이 초복이었고 오는 26일은 중복이다. 날마다 오는 비에 온 몸이 축 처지는 계절이다. 이럴 때 삼계탕 한 그릇은 온몸에 양기를 북돋운다.

삼계탕(蔘鷄湯)은 어린 닭의 뱃속에다 찹쌀, 인삼, 대추, 밤, 황기 등을 넣고 푹 고아서 만든 닭 요리다. 복날에 주로 먹는 이 음식은 한국의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손색이 없다. 열량이 높아 삼계탕 한 그릇이 밥 세 공기의 열량을 웃돈다.

삼계탕은 원래 계삼탕(鷄蔘湯)이라고 불렀다. 고대 중국의 문헌을 보면 ‘백제 등에선 닭개장을 즐겼고 또 인삼도 약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백과사전 등에는 일제강점기 때 부자들이 백숙이나 닭국물에 인삼가루를 넣어 만든 것이 오늘날 삼계탕의 시초였다고 적혀 있다. 그러다 1950년대에 ‘계삼탕’을 파는 식당이 생겨났고 1960년대에는 비로소 ‘삼계탕’이라는 이름이 탄생했다. 1960년대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인삼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되자 인삼가루 대신 말린 인삼을 넣어 지금의 삼계탕이 된 것이다.

삼계탕의 주 재료는 역시 닭이다. 삼계탕에 들어가는 ‘영계(-鷄)’는 병아리보다 조금 큰 어린 닭을 말한다. 나이가 어린 이성(異性)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그 어원은 ‘연계(軟鷄:어린 닭)’에서 나왔다. ‘연’이 ‘영’으로 발음되면서 ‘영계’가 일상화된 것이다. 혹자들은 어린 닭을 의미하는 ‘young鷄’라는 조어를 만들기도 하지만 터무니 없는 용어일 뿐이다. ‘young鷄’가 있으면 ‘old鷄’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 단어는 없다. 다만 ‘노계(老鷄)’만 있을 뿐이다.

삼계탕은 인삼이 있어야 비로소 완성된다. 삼(蔘)은 순 우리말로는 ‘심’이라고 표현하는데, ‘심’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문헌은 성종 20년(1489년)에 편찬된 <구급간이방언해(救急簡易方諺解)>이다.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인삼조’에서도 ‘人蔘’ 바로 밑에 ‘심’이라고 한글로 표기했다. 심마니가 산삼을 발견하였을 때 세 번 외치는 소리 ‘심봤다’의 심이 바로 이 ‘심’이다.

복날 영계와 인삼은 환상의 조합이다. 코로나19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지만 그래도 먹을 건 먹어야 버틸 수 있다. 이재명 논설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