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문화재단, 프롬나드페스티벌 추진 앞서 ‘라운드테이블’
지역성에 갇힌 축제 탈피
“축제 명칭 그대로 유지”
지역성에 갇힌 축제 탈피
“축제 명칭 그대로 유지”

그동안 울산지역 축제를 논하는 자리에서 ‘지역의 색깔을 드러낼 만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어김없이 등장했다.
이에 토론회에서는 “이미 울산에는 지역성을 드러내는 문화축제가 많고, 비슷한 포맷으로 진행된다. 대부분 전통, 역사를 알리는 축제인데 굳이 지역성을 녹여내고 싶다면, 이 시대 울산의 모습은 어떠한지를 보여주면 좋겠다”는 의견에 큰 호응을 보였다.
신현재 예술더하기예술 대표는 “일반 시민들도 해외 유명축제를 즐기는 시대다. 프롬나드 만큼은 지역성에 갇힌 축제에서 탈피하면 좋겠다”고 했다.
지역의 많은 축제들이 관주도로 이뤄지다 보니, 외형적인 성과에만 급급한 경우가 많다.
우진수 우리랑 대표는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관주도 축제이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상황이 이렇다면 전략적으로라도 다른 축제에서 만나기 힘든 킬러 콘텐츠를 발굴하고, 방향성과 목적성을 확실하게 갖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프롬나드페스티벌이라는 명칭이 한글도시를 표방하는 울산지역의 정서와 맞지 않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프롬나드(Promenade·도심 속 정원에 예술을 심어 산책자의 삶과 연결한다)라는 명칭에 대해 꾸준히 홍보하고 알려 시민들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해 첫선을 보인 울산프롬나드페스티벌은 타 도시 거리축제 출연진 및 내용과 상당 부분 겹치면서 ‘중복출연’ ‘축제차용’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다만, 이날 모임에서는 이같은 시민여론에 대한 재단 측의 입장을 밝히거나 새로운 대안이 논의 되지는 못했다. 재단은 향후 2~3차 라운드테이블이 추가로 개최 할 예정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