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송정역 수요예측결과 하루 5428명 이용
상태바
울산 송정역 수요예측결과 하루 5428명 이용
  • 정세홍
  • 승인 2019.10.23 2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년 조사보다 1500여명 늘어

광역전철 종착역 송정 변경 요구

시설·운영비 증가 대응책 마련

시 “국토부 등 관계 부처 설득”
▲ 자료이미지
울산시가 진행한 (가칭)송정역 수요예측 결과 하루 이용객이 54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년 전 철도시설공단이 수행한 수요예측치보다 1500여명이 증가한 수치다. 시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 등 관계 부처에 2021년 완전 개통되는 광역전철의 종착역을 현 태화강역에서 (가칭)송정역까지 연장해달라는 요구를 관철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23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6월께 약 2000만원을 들여 진행한 (가칭)송정역 이용 수요예측 용역 결과 하루 이용객은 5428명으로 예상됐다. 지난 2016년 철도시설관리공단 등이 조사했던 하루 이용객 3912명보다 1500여명 많은 수치다.

연간 이용객은 약 200만명으로 2016년 140만여명에 비해 60만명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진행했던 반경 10㎞ 수요예측 인구도 45만명에서 약 51만명으로 6만여명 늘었다.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송정지구에만 6000가구, 2만여명이 넘는 인구가 입주했거나 예정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경주지역의 이용도 예상된다. 무엇보다 오는 2021년 호계역이 없어지고 (가칭)송정역이 개통되면 EMU 등 준고속열차의 운행으로 역을 찾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철도시설관리공단 등이 진행했던 수요조사는 청량리~해운대역까지 이어지는 EMU(준고속열차)만 운행한다는 가정 하에 진행한 것이었고, 이번에 울산시가 진행한 용역은 EMU는 물론 동해남부선 부산~태화강역을 다니는 광역전철(전동차)을 포함한 결과여서 기대에 못미친다는 분석도 있다.

시는 일단 수요가 늘어난 수요예측 결과를 근거로 광역전철 연장 운행을 국토부에 재차 요청하는 등 연장 운행 관철을 위한 대응논리를 다각도로 개발해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광역전철 연장 운행 확정시 추가로 철도시설 개선 등 시설·운영비 등 비용 부담 주체 문제도 관련 부처와 협의 중이다.

(가칭)송정역은 청량리~해운대역을 다니는 EMU 열차의 정차가 확정된 상황이지만 여기서 부산~태화강역을 다니는 광역전철까지 연장하기에는 철도시설 개선과 역사 확장 등 시설·운영비가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연장 운행이 결정될 경우 종착역이 태화강역이 아닌 (가칭)송정역으로 바뀌고 이에 따른 직원 숙박시설이나 역사 규모 등 부대비용도 매우 증가한다. 또 EMU와 광역전철의 중복 운행으로 수요 대비 적자 발생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관계 부처에 지속 요구하고 있지만 다른 지자체 사례나 법적 검토 등 당장 결정날 사항은 아닌 것 같다. 국비사업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변화된 여건을 반영해 관계 부처를 설득할 수 있는 대응논리를 개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세홍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