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연합회 “부품업체 미래차 전환 시급”
상태바
자동차산업연합회 “부품업체 미래차 전환 시급”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0.10.21 2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0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중국업체 움직임 주목 필요성
자동차산업 전환기를 맞아 부품업계도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부품 생산체계를 갖춰야 할때가 왔지만 경제적 여력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미래차 전환 실태 조사결과 및 정책건의’를 주제로 제10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을 열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인사말에서 “부품업체의 체계적인 미래차 전환 전략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며 “부품업계는 미래차 관련 투자를 늘려가고 있지만 투자금 회수에 시간이 오래 걸려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만기 회장은 특히 중국 업체들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부품 기업들이 글로벌 전기차 부품 공급망을 전부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 CATL은 테슬라 모델3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 부품업체인 저장싼화는 폭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 등에도 전기차용 열 제어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중소 부품업계는 미래차 전환기에 거의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본부장은 국내 185개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 매출 500억 이하 중소 부품업체 중에서는 16.1%만 전환한 상태였다고 밝혔다. 또 내연기관차의 동력계 부품업체 중 68.2%가 미래차 전환으로 인한 매출 축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 부품 양산 기업 중 수익을 내고 있는 업체도 17.8% 밖에 되지 않았다. 미래차 R&D 투자를 저해하는 애로 사항으로는 자금 부족 문제를 꼽은 부품 업체가 35.6%로 가장 많았다. 부품 개발에서 양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32.8개월, 최장 84개월이었다. 이우사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