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만쌍…전년比 7.4%↓
전국적 감소속 세종만 증가
타지역서 전입 비중도 줄어
출생아 수는 평균보다 높아
울산 신혼부부의 수가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큰폭으로 감소했다. 울산 신혼부부의 출생아 수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타 시도에서 울산으로 전입하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전국적 감소속 세종만 증가
타지역서 전입 비중도 줄어
출생아 수는 평균보다 높아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 신혼부부(혼인 신고한지 5년 이내 부부)는 3만431쌍으로 전년(3만2861쌍)대비 7.4%(2430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전국 신혼부부 전년대비 증감률은 -4.7%로, 울산의 감소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대전(-7.1%), 부산(-6.9%) 등 16개 시도는 감소하고, 세종만 4.3% 증가했다.
울산의 신혼부부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로 전년대비 0.1%p 감소했다.
울산 전체 신혼부부 중 초혼이 79.0%, 재혼은 20.9%를 각각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초혼비중이 0.5%p 감소하고, 재혼은 0.5%p 증가했다.
신혼부부의 거주지역 이동현황을 보면 지난해 울산 이동부부수는 4589쌍이었다.
이중 동일 시도 내 이동이 78.5%, 다른 시도에서 전입이 21.5%를 차지했다.
다른 시도에서 울산으로 전입한 신혼부부의 비중은 지난해(24.6%)보다 3.1%p 감소했다.
울산은 제주(-3.5%) 다음으로 타 시도에서의 신혼부부 전입 감소폭이 높았다.
울산 신혼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는 0.77명으로 전국 평균(0.74명)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출산현황에 따르면 자녀 1명을 둔 울산의 신혼부부는 1만1648쌍으로, 전체의 절반 가량인 48.4%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자녀 없음 37.2%(8954쌍), 2명 이상 14.3%(3443쌍)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전국 초혼 신혼부부 99만8365쌍 중 금융권 대출 잔액이 있는 부부 비중은 85.8%(85만6972쌍)로 1년 전보다 0.7%p 상승했다.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의 대출금 잔액 중앙값은 1억1208만원으로 1년 사이 1208만원(12.1%) 늘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울산 신혼부부 수 현황 | |||
구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신혼부부 수 | 3만2861쌍 | 3만431쌍 | -7.4% |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