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평균가동률 등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 기록
조선 등 주52시간 유예 촉구
울산 기술강소기업 66개 유치
신산업분야 신성장 동력 확보
올 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생산과 수출이 급감하면서 울산 중소기업들도 혹독한 시기를 보내야 했다. 울산 중소기업들의 경기전망지수와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내년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주 52시간제 시행을 앞두고 체질개선이 요구되면서 진통을 겪었다. 경기전망지수·평균가동률 등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 기록
조선 등 주52시간 유예 촉구
울산 기술강소기업 66개 유치
신산업분야 신성장 동력 확보
반면에 당초 목표치보다 많은 기술강소기업을 울산으로 유치하는데 성공하면서 4차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 등 신산업분야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중기 경기전망지수, 가동률 역대 최악
20일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본부에 따르면 올해 울산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SBHI는 향후 경기전망과 관련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많음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코로나 사태 이후 울산 중소기업 SBHI가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고 있는 가운데 6월 제조업 SBHI는 56.9까지 떨어졌다. 이는 중기중앙회 부울본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4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비제조업 또한 코로나 한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된 5월 SBHI가 40.3까지 떨어지면서 마찬가지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올초 1월 70.1%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며 지난 8월 60.7%까지 떨어졌다. 이같은 가동률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근 11년간 역대 최저치며, 1월 이후 한번도 가동률이 70%를 넘기지 못했다.
◇주 52시간제 적용 앞두고 진통 이어져
울산의 대표적인 노동집약 업종인 조선업과 자동차 등 관련 중소기업들은 정부에 주 52시간제 적용을 유예해달라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전달했다. 특히 공기가 생명인 조선업은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고용유지 및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현대중공업 등 조선5사 협력사협의회 연합회는 정부에 건의서를 통해 주 52시간 적용 재고를 공식 요청했다. 조선업계는 주 52시간제를 도입할 경우 한국 조선업 전체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노동자 이탈 등으로 고용시장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자동차업계 또한 주 52시간제 도입으로 인해 특근과 잔업 등이 사라지면 생산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기술강소기업 유치 등 신성장동력 확보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 등에 따르면 올해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 전략을 통해 기술 강소기업 66개 업체를 울산으로 유치했다. 이는 당초 목표치인 55개 업체보다 11개 업체를 더 유치해 120%를 달성한 것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기술 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으로 조례 개정, 입주 공간 확보, 타깃 기업 발굴, 이전·창업기업 특별 지원,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온라인 투자 유치 설명회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또한 울산테크노파크와 정보산업진흥원 등 지원기관들은 입주공간을 확보하고 창업기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 대·중소기업 공동 기술개발 지원 등으로 기술강소기업 유치에 힘을 보탰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2020년 울산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 및 평균 가동률 | ||||||||||||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제조업 | 75.9 | 75.9 | 64.5 | 71.0 | 66.1 | 56.9 | 67.2 | 61.3 | 74.2 | 72.7 | 70.8 | 65.6 |
비제조업 | 87.9 | 85.9 | 74.2 | 59.7 | 40.3 | 42.2 | 52.9 | 47.0 | 44.6 | 45.3 | 54.4 | 60.3 |
평균가동률 | 70.1% | 65.6% | 63.1% | 66.1% | 65.8% | 68.6% | 64.1% | 60.7% | 65.4% | 65.5% | 없음 | 없음 |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