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빚기 문화’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상태바
‘막걸리 빚기 문화’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 홍영진 기자
  • 승인 2021.04.13 2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전통생활관습인 ‘막걸리 빚기 문화’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기 문화’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했다. 다만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마찬가지로 특정 보유자와 단체는 인정하지 않는다.

막걸리 빚기 문화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 삼국 시대부터 각종 고문헌에서 제조 방법과 관련 기록이 확인되는 점, 농요·속담·문학작품 등 막걸리 관련 문화를 통해 한국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 현재도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해 막걸리를 빚는 전통 지식이 전승·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막걸리는 멥쌀, 찹쌀, 보리쌀 등 곡류로 빚기 때문에 삼국 시대 이전 농경이 이뤄진 시기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미온’(美醞), ‘지주’(旨酒), ‘료예’(醪醴) 등 막걸리로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이 확인된다.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등에도 막걸리로 추측되는 ‘백주’(白酒) 등의 용어가 나온다. 조선시대 춘향전, 광재물보(백과사전류)에는 ‘목걸리’ ‘막걸니’ 등 한글 표기로 나타난다. <규합총서> <음식디미방> 등 각종 조리서에서도 확인된다.

조선 시대까지 막걸리는 집마다 빚어 집안 특유의 술맛을 유지해 왔다. 근대 이후 국가 정책에 따라 양조장 막걸리가 일반화되고 재료가 변화하기도 했지만, 그 명맥을 유지해왔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후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홍영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